티스토리 뷰

🏘️ 1. “지방 소멸”이란 말, 그냥 경고가 아니다
2024년, 대한민국 인구 구조는 심각하게 뒤틀렸다.
젊은이는 수도권으로 몰리고, 지방 도시는 텅 비어 간다.
이런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 바로 ‘지방 소멸’이다.
지방 소멸이란
20~39세 여성 인구수 ÷ 65세 이상 인구 수
이 지수가 0.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,
0.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.
이 공식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.
이 지수가 낮다는 건, 지역 사회가 유지될 인구 구조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는 뜻이다.
🗺️ 2. 대한민국 소멸위험 지역은 몇 곳일까?
항목 | 숫자 |
전국 시군구 수 | 228곳 |
소멸위험 지역 (지수 0.5 미만) | 130곳 |
소멸고위험 지역 (지수 0.2 미만) | 57곳 |
지금 이 순간에도,
우리나라의 절반이 넘는 지역이 인구 소멸 위험에 노출돼 있다.
게다가 2024년에는 부산광역시도 최초로 소멸위험 단계에 진입했다.
소멸위험지수 0.490.
이제는 ‘지방’이라는 말로도 구분이 어려운 상황이다.
📍 3. 소멸 위험 상위 지역은 어디인가?
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4년 기준 상위 위험 지역 10곳은 다음과 같다:
순위 | 지자체 | 소멸위험지수 |
1 | 전북 정읍시 | 0.145 |
2 | 충남 보령시 | 0.149 |
3 | 경북 영주시 | 0.153 |
4 | 전북 남원시 | 0.159 |
5 | 전북 김제시 | 0.163 |
6 | 경북 영천시 | 0.166 |
7 | 강원 태백시 | 0.169 |
8 | 경남 밀양시 | 0.173 |
9 | 경북 문경시 | 0.175 |
10 | 경북 상주시 | 0.177 |
이들 지역의 공통점은
- 젊은 층 이탈
- 출산율 최저
- 산업 쇠퇴
- 생활 기반 축소
라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.
⚠️ 4. 무너지는 지방의 생활 기반
소멸위험지역에서 벌어지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:
- 학교 폐교: 2023년 한 해에만 150개 이상 학교 문 닫음
- 대중교통 축소: 버스 노선 절반 이상 폐지
- 의료 공백: 병원·약국 없어 구급차만 의존
- 마트·은행 사라짐: 유통·금융 인프라 철수
- 청년 실업 극심: 일자리 없음 → 수도권 탈출
이제는 ‘지방이 불편하다’가 아니라
‘살 수 없는 곳이 되고 있다’는 위기의식이 퍼지고 있다.
🏠 5. 왜 지방이 이렇게 됐을까?
▪️ 출산율 붕괴
2024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.72명.
OECD 국가 중 꼴찌이자, 세계 최저다.
▪️ 수도권 블랙홀
서울·경기·인천에 전국 인구의 51% 이상이 집중.
지방의 인재·기업·인프라가 서울로 빨려 들어간다.
▪️ 청년의 귀향 없음
지방 출신 청년들이 대학·취업 후 수도권에 정착.
‘돌아가지 않는 청년’ 현상이 지방 소멸을 가속화한다.
📉 6.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?
정책 | 내용 |
소멸대응기금 | 연 1조 원 규모, 지자체별 인구유입 사업 추진 |
청년 정착지원 | 귀향 청년에 정착금, 임대주택, 일자리 연계 |
지방대학 활성화 | 기숙사 확대, 등록금 지원, 통합 캠퍼스 |
스마트 농촌 | 귀농·귀촌+디지털 농업 보조금 및 교육 강화 |
하지만 현장 반응은 냉랭하다.
“예산은 투입되는데, 삶은 안 바뀐다”는 불신이 커지고 있다.
🧭 7. 지방이 살아나는 곳도 있다?
그럼에도 일부 지역은 다른 길을 택했다.
✔ 전북 완주
- 로컬푸드, 공동체 마을 프로젝트 성공
- 청년 귀농자 증가
✔ 강원 정선
- 축제, 문화관광 산업으로 청년 창업 공간화
- 콘텐츠 기반 지역 활성화 모델
✔ 경북 예천
- 전국 1위 귀농귀촌 도시
- 고령화 대비한 의료·주거 복합 단지 조성
핵심은 차별화된 지역 콘텐츠 + 청년 유입 전략이다.
🤔 8.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?
- 지방이 사라진다는 건 단순한 행정구역의 소멸이 아니다.
- 대한민국의 균형, 청년의 미래, 고령 인구의 존엄까지
모두 연결된 중대한 문제다.
우리가 할 수 있는 건:
- 지역 콘텐츠 소비
- 귀향 청년 응원
- 수도권 이외 거주에 대한 인식 개선
- 정보 전달자로서 지방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노력
“지방이 살아야, 나라가 산다”
이제는 공감이 아닌, 실천의 문제다.
🏷️ 해시태그
'시사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방 소멸 현실화? – 10년 뒤 우리 동네 인구지도 바뀐다 (0) | 2025.08.09 |
---|---|
AI 뉴스, 믿어도 될까? – 인공지능이 만든 기사, 진짜일까 가짜일까 (11) | 2025.08.03 |
뉴스 댓글 실명제, 다시 부활할까? – 표현의 자유 vs 혐오 댓글 (9) | 2025.07.31 |
SNS에 지친 여름 – ‘비교 중독’이 만든 휴가 스트레스와 디지털 디톡스 전략 (3) | 2025.07.28 |
뉴스는 더 이상 신문으로 보지 않는다 – AI 요약 뉴스와 뉴스레터 시대의 정보 소비 변화 (6) | 2025.07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