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 

 

🏘️ 1. “지방 소멸”이란 말, 그냥 경고가 아니다

2024년, 대한민국 인구 구조는 심각하게 뒤틀렸다.
젊은이는 수도권으로 몰리고, 지방 도시는 텅 비어 간다.
이런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 바로 ‘지방 소멸’이다.

지방 소멸이란
20~39세 여성 인구수 ÷ 65세 이상 인구 수
이 지수가 0.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,
0.2 미만이면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.

이 공식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.
이 지수가 낮다는 건, 지역 사회가 유지될 인구 구조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는 뜻이다.


🗺️ 2. 대한민국 소멸위험 지역은 몇 곳일까?

항목 숫자
전국 시군구 수 228곳
소멸위험 지역 (지수 0.5 미만) 130곳
소멸고위험 지역 (지수 0.2 미만) 57곳
 

지금 이 순간에도,
우리나라의 절반이 넘는 지역이 인구 소멸 위험에 노출돼 있다.
 
게다가 2024년에는 부산광역시도 최초로 소멸위험 단계에 진입했다.
소멸위험지수 0.490.
이제는 ‘지방’이라는 말로도 구분이 어려운 상황이다.


📍 3. 소멸 위험 상위 지역은 어디인가?

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24년 기준 상위 위험 지역 10곳은 다음과 같다:

순위 지자체 소멸위험지수
1 전북 정읍시 0.145
2 충남 보령시 0.149
3 경북 영주시 0.153
4 전북 남원시 0.159
5 전북 김제시 0.163
6 경북 영천시 0.166
7 강원 태백시 0.169
8 경남 밀양시 0.173
9 경북 문경시 0.175
10 경북 상주시 0.177
 

이들 지역의 공통점은

  • 젊은 층 이탈
  • 출산율 최저
  • 산업 쇠퇴
  • 생활 기반 축소
    라는 악순환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.

⚠️ 4. 무너지는 지방의 생활 기반

소멸위험지역에서 벌어지는 현상은 다음과 같다:

  • 학교 폐교: 2023년 한 해에만 150개 이상 학교 문 닫음
  • 대중교통 축소: 버스 노선 절반 이상 폐지
  • 의료 공백: 병원·약국 없어 구급차만 의존
  • 마트·은행 사라짐: 유통·금융 인프라 철수
  • 청년 실업 극심: 일자리 없음 → 수도권 탈출

이제는 ‘지방이 불편하다’가 아니라
‘살 수 없는 곳이 되고 있다’는 위기의식이 퍼지고 있다.


 

 

🏠 5. 왜 지방이  이렇게 됐을까?

▪️ 출산율 붕괴

2024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.72명.
OECD 국가 중 꼴찌이자, 세계 최저다.

▪️ 수도권 블랙홀

서울·경기·인천에 전국 인구의 51% 이상이 집중.
지방의 인재·기업·인프라가 서울로 빨려 들어간다.

▪️ 청년의 귀향 없음

지방 출신 청년들이 대학·취업 후 수도권에 정착.
‘돌아가지 않는 청년’ 현상이 지방 소멸을 가속화한다.


📉 6.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?

정책 내용
소멸대응기금 연 1조 원 규모, 지자체별 인구유입 사업 추진
청년 정착지원 귀향 청년에 정착금, 임대주택, 일자리 연계
지방대학 활성화 기숙사 확대, 등록금 지원, 통합 캠퍼스
스마트 농촌 귀농·귀촌+디지털 농업 보조금 및 교육 강화
 

하지만 현장 반응은 냉랭하다.
예산은 투입되는데, 삶은 안 바뀐다”는 불신이 커지고 있다.


🧭 7. 지방이 살아나는 곳도 있다?

그럼에도 일부 지역은 다른 길을 택했다.

✔ 전북 완주

  • 로컬푸드, 공동체 마을 프로젝트 성공
  • 청년 귀농자 증가

✔ 강원 정선

  • 축제, 문화관광 산업으로 청년 창업 공간화
  • 콘텐츠 기반 지역 활성화 모델

✔ 경북 예천

  • 전국 1위 귀농귀촌 도시
  • 고령화 대비한 의료·주거 복합 단지 조성

핵심은 차별화된 지역 콘텐츠 + 청년 유입 전략이다.


🤔 8.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?

  • 지방이 사라진다는 건 단순한 행정구역의 소멸이 아니다.
  • 대한민국의 균형, 청년의 미래, 고령 인구의 존엄까지
    모두 연결된 중대한 문제다.

우리가 할 수 있는 건:

  • 지역 콘텐츠 소비
  • 귀향 청년 응원
  • 수도권 이외 거주에 대한 인식 개선
  • 정보 전달자로서 지방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노력

“지방이 살아야, 나라가 산다”
이제는 공감이 아닌, 실천의 문제다.


🏷️ 해시태그

 

 

 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