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📰 1. 한국인, 뉴스를 얼마나 믿을까?
2024년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(RISJ) 조사에 따르면,
한국 국민의 뉴스에 대한 신뢰도는 31%로 세계 조사 대상국 중 하위권에 위치해 있어
이는 전 세계 평균(약 40%)보다 9% P 낮은 수준이야
📉 2. 신뢰도 31%의 의미
- 2018년 25% → 2021년 32% → 2024년 31%: 약간 회복세이지만 여전히 저조해
- 일부 매체 신뢰는 높고 전체 언론에 대한 신뢰는 낮은 구조:
예: MBC(37.4%), KBS(13.5%) 등의 신뢰도 웹조사
즉, 사람들은 특정 언론사 기사나 채널을 믿지만, 전체 언론 시스템에는 불신이 많다는 거야.
🧭 3. 신뢰도가 낮은 원인 5가지
① 포털 중심 뉴스 소비와 '필터 버블'
- 포털·SNS 뉴스 소비가 활발하지만,
그로 인해 익숙한 뉴스만 소비하는 환경 → 신뢰도 저하
② 과열된 정치·갈등 보도
- 정치·사회 갈등 이슈가 지속적으로 보도되며,
언론의 편향 또는 ‘낚시식 보도’라는 비판 발생.
③ 가짜뉴스·허위정보 범람
- AI·딥페이크의 확산 → 뉴스 신뢰 기반 흔들림.
- 실제로 ‘가짜뉴스 유포 증가’에 따른 불안감도 커짐.
④ 언론 내부 신뢰 붕괴
- 기자·보도 기관에 대한 이미지 문제,
‘자사 위주 보도’나 ‘선택적 취재’에 대한 비판.
⑤ 글로벌 디지털 전환 압력
- 전통 매체 뉴스 이용률은 감소 ↓
특히 20~30대 중심 동영상·SNS 중심 소비 증가
🌍 4. 신뢰도 상위 매체와 대안적 소비 경로
- MBC(37.4%)는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 확보 중
- KBS, JTBC, SBS 순으로 신뢰 격차 존재
- 직접 언론사 웹사이트 방문이나 구독 기반 채널 이용이 상대적 신뢰 기여.
🧩 5. 언론 신뢰도를 높이려면?
✅ 투명한 보도 절차 공개
취재·편집 과정, 기사 출처 표기, 정정보도 절차 강화.
✅ 독자 참여와 피드백 활성화
댓글칸 개선, 팩트체크 시스템 도입, 독자 의심에 반응하는 체계 마련.
✅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대
학교·공공기관에서뉴스 소비 역량 강화 교육 필요.
✅ 다양한 플랫폼 활용
영상 뉴스, 팟캐스트, 인포그래픽, 카드뉴스 등을 통해 흥미와 신뢰 동시에 강화.
✅ 언론사 신뢰지표 공개
공공 리포트 형태로 언론사별 신뢰도 지표를 정기적으로 평가·공개.
🔍 6. 한국 언론 신뢰의 국가 비교
- Edelman 조사 기준, 한국은 미디어 신뢰도가 세계 평균 이하
- OECD 전반적으로 공공 서비스 신뢰는 낮지만, 한국 언론은 특히 더 낮은 편. .
💡 7. 언론 불신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
- 정치 불신·갈등 심화
- 허위 정보 확산에 취약
- 시민의 비참여·무관심 증가
🧭 8. 마무리 –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걸음
- 뉴스를 소비할 때, '진짜인지' 한 번 더 확인
- 다양한 매체를 비교하며 크로스 체크
- 언론사에 변화 요구
- 미디어 소비 습관과 시각 개선
“특정 기사는 믿지만 언론 전체는 불신하는 현실,
그 간극을 줄이는 첫걸음은 우리부터 시작하는 미디어 소비 방식의 전환입니다.”
🏷️ 해시태그
'시사이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영방송 민영화 논란 – 시청자에게 중요한 5가지 쟁점 (0) | 2025.08.15 |
---|---|
10년 후 우리 동네가 사라진다? – 지방 소멸 현실화된 대한민국 인구지도 (0) | 2025.08.12 |
지방 소멸 현실화? – 10년 뒤 우리 동네 인구지도 바뀐다 (0) | 2025.08.09 |
AI 뉴스, 믿어도 될까? – 인공지능이 만든 기사, 진짜일까 가짜일까 (11) | 2025.08.03 |
뉴스 댓글 실명제, 다시 부활할까? – 표현의 자유 vs 혐오 댓글 (10) | 2025.07.31 |